본문 바로가기
반려견과 함께하는 삶

포메라니안 털색, 치와와와의 교배 결과, 유형성숙

by 달려라하마 2022. 12. 19.
728x90
반응형

 

포메라니안의 털색

미국 켄넬협회의 기준에 따른 색상/패턴 종류는 다음과 같다.

색상 : 붉은색(open red), 오렌지(orange), 크림색(cream), 세이블(sable), 검은색(open black), 갈색(brown), 블루(blue), 세이블 믹스(cream sable, orange sable)

패턴 : 얼룩무늬(Brindle), 파티(Parti), 강한 흑백 얼룩(Extreme Piebald), 흑백 얼룩(piebald), 아이리쉬(Irish), (Tan points)

 

유럽 각국의 애견협회의 털색에 대한 기준을 살펴보면 포메라니안의 털은 다양한 색들이 있다. 18세기 이전에는 흰색과 검은색의 무채색이 주류였다. 그 시기의 포메라니안은 현재보다 덩치가 큰 포메라니안이었다. 19세기 중후반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오렌지 컬러 포메라니안이 큰 인기를 끌었고 19세기 말 미국에 소개된 포메라니안도 오렌지색이 대부분이었다.

 

20세기 이후 유럽 및 미국에서 포메라니안이 3kg 미만으로 작아진 후 오렌지색 계열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포메라니안의 털색을 결정한다고 밝혀진 7개의 유전자 중 흰색을 발현하는 유전자가 가장 열성이기 때문에 자연적으로는 흰색 포메라니안이 가장 적게 나타나기 때문에 화이트 포메라니안은 상당히 드물다. 화이트 포메라니안은 등과 귀 뒤쪽에 옅은 브라운색이 감도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리나라나 일본, 대만에서는 순백색의 포메라니안이 많다. 포메라니안과 재패니즈 스피츠를 교배시켜 생겨난 품종을 폼피츠라고 하는데, 일본에서 1920년대 이후에 개량된 재패니즈 스피츠는 흰색이 주를 이루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아시아의 폼피츠와의 교배종인 화이트 포메라니안이 서구로 역수출되기도 한다.

 

포메라니안은 크면서 털색이 바뀌거나 패턴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어서 털색은 반드시 성견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드물게 검정, 푸른색, 보라색, 진회색 등이 있다. 자견의 귀 뒤의 털색을 보면 성견이 되었을 때의 모색과 동일한 경우가 많다. 갈색 포메라니안은 초콜릿 색처럼 아주 진한 갈색이고, 보통의 누런 연갈색 빛의 포메라니안은 레드, 오렌지, 크림색의 스펙트럼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 역시 명확한 구분법은 없고 털색이 얼마나 진한가로 그 기준을 잡는데 갈색이 가장 보편적이다. 

의자 위에 앉아 있는 오렌지색 털의 포메라니안
오렌지색털의 pomeranian. Photo by Hayffield L on Unsplash

 

치와와와의 교배 결과

반려견 중 가장 작은 견종인 치와와는 가격이 저렴한 데다가 이목구비가 호감형이라 특정 견종을 소형화할 때 가장 많이 교배되는 품종이다. 최근 소형화와 짧은 주둥이의 두 가지 목표를 위해 치와와와 교배하는 경우가 많다. 치와와는 뾰족 귀를 가지고 있는 몇 안 되는 소형 견종이기 때문에 1석 3조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포메라니안은 주둥이가 작지만 원추형의 주둥이가 기본 형태로서 주둥이는 약간 아래쪽을 향한다. 치와와와의 교배로 인해 소형 포메라니안들 중에서 주둥이가 둥글고 들창코로 전형적인 치와와의 주둥이 형태를 가진 경우가 많다.

또 포메라니안은 스피츠 그룹의 견종답게 두 눈이 가깝고 시야각 차이가 적으나, 눈 사이의 거리도 멀고 두 눈의 시야각도 많이 벌어진 소형 포메라니안들이 많은 것도 치와와와의 교배로 인한 치와와 두상의 특징이 나타난 것이다. 포메라니안 강아지 중에 사시가 많은 것도 치와와와의 과한 교배 때문이다.

포메라니안은 다른 스피츠 타입 견종들과 마찬가지로 늑대처럼 두 귀가 가까우며 수직에 가깝게 쫑긋 서 있으나, 치와와와 섞인 포메라니안들은 양귀가 꽤 벌어져 있고 각도도 더 벌어져 있다.

포메라니안은 입모양이 완만한 U자 모양이며 눈꼬리도 선하게 생겼다. 반면 치와와의 교배 품종은 입을 다물고 있을 때 전반적으로 약간 화가 나있거나 심통이 나 있는 모습이다.

 이빨의 형태와 치열에서도 치와와의 특성을 지닌 포메라니안들이 많다. 포메라니안 새끼인데도 천문이 있는 경우는 치와와와 많이 교배되었기 때문이다.

스피츠 계열 개들은 부정교합이 거의 없다. 반면 단두종에서는 부정교합이 흔히 발견된다. 포메라니안의 경우 부정교합은 주둥이 길이를 줄이기 위한 다른 단두종들과의 교배로 인한 것이다.

 

포메라니안의 유형 성숙

유형 성숙은 어린 시절의 모습을 성체가 되어서도 유지하는 성질을 뜻한다. 대표적으로 인간, , 쥐 등이 있는데, 소형견들은 개과 동물 중에서도 유형 성숙이 가장 잘 나타난다. 소형견들 중에서 성체의 크기가 작을수록 유형 성숙의 특성이 더 잘 나타나서 대표적으로 치와와와 포메라니안을 꼽을 수 있다.

728x90
반응형